본문 바로가기
이슈

대통령후보 TV토론 1~3차, 공약과 주요 논쟁점 정리

by Osamu 2025. 5. 28.

 

과연 누가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 적임자일까? 제21대 대통령선거 1~3차 TV토론에서 펼쳐진 치열한 공약과 논쟁을 한눈에 살펴보세요!

1차 TV토론: 경제 해법을 둘러싼 격돌

2025년 5월 18일, 서울 상암동 SBS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1차 TV토론은 경제를 주제로 치열한 공방이 펼쳐졌다.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권영국 후보는 저성장 극복, 민생 경제 활성화, 트럼프 시대의 통상 전략, 국가 경쟁력 강화 방안을 놓고 논쟁을 벌였다.

 

주요 공약과 논쟁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주 4.5일제 도입과 반도체 산업 지원을 강조했으나, 구체적 실행 방안 부족으로 이준석 후보로부터 "포퓰리즘" 비판을 받았다. 차별금지법 제정에 대해선 "복잡한 현안"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 김문수 (국민의힘): 수도권 규제 완화와 원전 중심 에너지 정책을 내세웠다. 이재명 후보의 정책을 비판하며 청렴성을 강조, 단일화 논의로 이준석 후보와 설전을 벌였다.
  • 이준석 (개혁신당): 이재명 후보의 공약을 "준비 부족"이라 공격하며 젊은 보수층을 겨냥한 차별화 전략을 구사했다. 차별금지법에 대해 전과자의 기본권 문제를 제기하며 권영국 후보와 논쟁.
  • 권영국 (민주노동당): 노동권 강화와 불평등 해소, 차별금지법 제정을 강력히 주장하며 진보층 표심을 공략했다.

👉1차 대선 토론회 다시보기

2차 TV토론: 사회 갈등과 정책 대안

5월 23일, KBS 스튜디오에서 열린 2차 토론은 사회 갈등 극복과 통합, 초고령 사회 대비, 기후 위기 대응을 주제로 진행되었다. 각 후보는 사회적 통합과 미래 대비책을 놓고 열띤 논쟁을 벌였다.

주요 공약과 논쟁

  • 이재명: 사회 갈등 해소를 위한 중도적 접근을 강조했으나, 김문수와 이준석 후보의 "사법 리스크" 공세에 방어적 자세를 취했다.
  • 김문수: 이재명 후보의 기본사회 공약을 포퓰리즘으로 비판하며, 청렴성과 보수적 가치를 강조했다.
  • 이준석: 남녀 갈등 논란을 방어하며 이재명 후보의 사법부 관련 발언을 비판, 젊은 유권자층을 겨냥했다.
  • 권영국: 중대재해처벌법 강화를 주장하며 노동자와 소외계층 중심의 정책을 제시했다.

👉2차 대선 토론회 다시보기

3차 TV토론: 정치 양극화와 개혁

5월 27일, 마지막 3차 토론은 정치 개혁, 개헌, 외교·안보를 주제로 진행되었다. 이재명 후보는 방어에 주력했고, 다른 후보들은 공세를 강화했다.

주요 공약과 논쟁

  • 이재명: 대통령 거부권 제한, 국무총리 국회 추천제, 4년 연임제 개헌을 제안하며 국익 중심의 실용 외교를 강조했다.
  • 김문수: 4년 중임제 개헌과 핵균형 전략을 주장하며 이재명 후보의 정책을 집중 검증했다.
  • 이준석: 이재명 후보의 비전 부족을 비판하며 정치 양극화 해소를 위한 젊은 리더십을 강조했다.
  • 권영국: 권역별 정당명부제와 국회의원 정수 확대를 제안하며 진보적 정치 개혁을 촉구했다.

👉3차 대선 토론회 다시보기

후보 공약 비교표

후보 경제 사회 정치·외교
이재명 주 4.5일제, 반도체 산업 지원 사회 갈등 해소, 차별금지법 신중론 4년 연임제, 실용 외교
김문수 수도권 규제 완화, 원전 정책 청렴성 강조, 기본사회 비판 4년 중임제, 핵균형
이준석 포퓰리즘 비판, 젊은 보수 남녀 갈등 방어, 사법부 비판 정치 양극화 해소
권영국 노동권 강화, 불평등 해소 중대재해처벌법 강화 정당명부제, 의원 정수 확대

참고자료

  • 연합뉴스, “이재명·김문수·이준석·권영국 대선후보, 2차 TV 토론,” 2025-05-23
  •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토론회 다시보기,” 
  • BBC News 코리아, “2025 대선 첫 TV 토론회, 경제 해법 놓고 격돌,” 2025-05-18
  • 연합뉴스, “이재명·김문수·이준석·권영국, 3차 TV토론…정치 양극화 주제,” 2025-05-27
  • BBC News 코리아, “21대 대선: 대선주자 첫 TV 토론 핵심 정리,” 2025-05-21